전공소개

1.소개

석사, 박사, 통합과정 / 공학계열 / 일반대학원 / 도시재생융합학과 / 도시재생학 석·박사

 

“강원지역이 갖는 지역적 차별성을 바탕으로 각각의 지역이 갖는 현안을 이해하고, 실천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통섭적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우리시대 필요한 융합형 인재양성을 지향합니다.

우리의 도시는 많은 관계망을 통해 형성되며 작동합니다.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하는 도시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공의 융합, 생각의 융합, 사고의 융합을 지향하며, 현대도시(지역)사회에서 필요로하는 학습환경을 바탕으로 교육합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학과, 지역경제전공, 건축학, 건축공학, 문화인류학과, 부동산학과 등에 소속되어 계시는 8개 분야 10분의 전임교수님들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둘째, 현장과 학교가 일체가 되어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합니다.

지역사회(도시)와 학교는 더 이상 개별적인 목적을 갖는 장소가 아니라 하나의 공동체적 성격을 갖고 학습하며 문제해결방안을 찾는 리빙랩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고, 즉각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생동감 있는 현장 환경을 공유하기 위하여 광역 도시재생지원센터 및 기초지자체의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장님들이 함께 학과를 운영합니다.

셋째, 강원지역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 인문학적 자원 등의 수집을 위한 아카이브를 구축·운영하고 이를 토대로 실천적 연구를 수행합니다.

지역사회의 포괄적인 자료 수집을 통해 DB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원지역의 지속가능한 저성장 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Hub로서의 역할을 지향합니다. 우리 학과는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선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우리는 현재 도시재생의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급격한 우리사회의 발전을 통해 구축되어진 도시 환경과 시스템을 바로잡는 과정에 있습니다.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우리 사회는 지역마다 공통의 문제와 더불어 차별화되는 문제를 과제로 남겼습니다. 이제는 이를 잘 이해하고 지역만의 특별한 환경에 가치를 더하는 것이 이 시대 필요한 재생의 방안일 것입니다. 우리학과는 시대와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2.연혁

2020. 04.

도시재생융합학과 석사과정 신설

2020. 05.

강원권역 도시재생 교육협업을 위한 1차 협의회

강원도 도시재생지원센터협의회 제1차 간담회 참석 학과 홍보

도시재생융합학과 박사과정 및 석·박사 통합과정 신설

2020. 07.

강원권역 도시재생 융합교육 위원회(1차)

2020. 08.

대학원 신입생 OT 및 도시재생학과 특강 1차(Urban-Platform 김형구소장)
-도시재생 전략계획 및 활성화계획, 2020 현재-

「정선포럼 2020」 참석 학과 홍보

석사과정 신입생 3명 입학

2020. 09.

도시재생학과 특강 2차(정선군 도시재생지원센터 이용규센터장)
-도시재생 이해와 센터의 역할-

2020. 10.

도시재생학과 특강 3차(동해시 도시재생지원센터 홍성도센터장)
-도시재생과 관광산업-

2020. 11.

도시재생학과 특강 4차(신평 도시재생지원센터 김명수센터장)
-도시재생의 이해와 행정, 주민, 전문가, 활동가의 역할-

2021.02.

2021년 1학기 대학원 신입생 OT 및 도시재생학과 특강 1차(강원대학교 건축학전공 김혜미연구교수)
-GIS로 읽는 도시재생

2021.03.

박사과정 신입생 5명 입학, 석사과정 신입생 1명 입학